-
재무제표 공부하기 1일차, 연결재무제표 vs 별도재무제표Review/붸리쑛독서 2025. 3. 21. 23:32반응형
2011년 이후 K-IFRS(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가 도입되면서 상장기업들은 연결재무제표를 중심으로 재무보고를 해야 하지만, 별도재무제표는 왜 작성할까?에서 시작된 궁금증으로 급 정리하게 됐어용.
( 회린이..? 아주 비기너라 고쳐하는 내용 있을 경우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해용)
별도재무제표가 필요한 이유와 작성 방식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별도재무제표란?
별도재무제표는 기업이 자회사나 계열사를 제외하고, 개별 법인 단위로 작성하는 재무제표를 의미한다.
연결재무제표가 기업 그룹 전체의 재무 상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보고서라면, 별도재무제표는 각 법인의 독립적인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보고서라고 볼 수 있다.
2. 별도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
• ① 배당 및 법적 의무 - 한국의 상법 및 세법상 배당 가능 이익을 결정할 때 별도재무제표 기준을 사용한다.
• ② 법인세 신고 - 법인세는 개별 법인 단위로 부과되므로, 세금 신고를 위해 별도재무제표가 필요하다.
• ③ 자회사·계열사 경영관리 - 대기업 그룹에서는 개별 법인의 재무 상태를 정확히 평가해야 한다.
• ④ 대출 및 금융거래 - 기업이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때, 개별 법인의 재무 상태가 중요한 평가 요소이다.
• ⑤ 해외 투자자 및 계약상 요구 - 해외 투자자나 특정 계약에서는 연결재무제표뿐만 아니라 별도재무제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 ⑥ 경영진의 의사결정 - 연결재무제표는 그룹 전체의 성과를 보여주지만, 개별 법인의 상세한 재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3. 별도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의 차이
구분
4. 별도재무제표 작성 방식 (회사마다 기준이 다를까?)
별도재무제표는 기본적으로 K-IFRS(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따라야 하지만, 회사의 업종, 내부 회계정책, 회계처리 방식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① 업종별 차이 - 제조업, 금융업, IT업종에 따라 회계 기준이 다를 수 있음.
• ② 감가상각 및 충당금 설정 방식 - 기업마다 감가상각 방법(정액법 vs. 정률법) 적용 차이가 있음.
• ③ 자회사 투자주식 평가 방법 - 원가법 또는 지분법 적용 가능.
• ④ IFRS 내 허용 범위 내에서 회계정책 선택 가능 - 기업별 내부 정책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5. 결론: 별도재무제표, 왜 필요할까?
📌 연결재무제표는 기업 그룹 전체의 재무 상태를 보여주지만, 개별 법인의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재무제표가 필수적이다.
📌 배당, 세금 신고, 대출, 내부 경영 분석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별도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한다.
📌 K-IFRS를 기본적으로 따르지만, 업종과 기업별 회계정책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따라서, 기업 회계를 이해하려면 연결재무제표뿐만 아니라 별도재무제표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반응형'Review > 붸리쑛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는 중)사는 동안 한 번은 팔아봐라_서과장 (0) 2024.05.25 [딸아, 돈 공부 절대 미루지 마라] 기억하고 싶은 부분 (0) 2023.05.29 생각정리스킬_복주환지음_줄거리 (2) 2023.03.26